
A. 본문 보기
1.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다시 오심과 우리가 그분 앞에 모이는 일에 대하여 여러분에게 간청합니다.
2. 누가 예언으로나 알리는 말로나, 또는 우리에게서 받았다고 하는 편지로 주의 날이 벌써 왔다고 말하더라도, 여러분은 마음이 쉽게 흔들리거나 당황하거나 하지 마십시오.
3. 여러분은 아무에게도 어떤 방법으로도 속아 넘어가지 마십시오. 그 날이 오기 전에, 먼저 배교하는 일이 생기고, 불법을 행하는 사람 곧 멸망의 자식이 나타날 것입니다.
4. 그는, 신이라고 불리는 모든 것에나 예배의 대상이 되는 모든 것에 대항하고, 그들보다 자기를 높이 올리는 자인데, 하나님의 성전에 앉아서, 자기가 하나님이라고 주장할 것입니다.
5. 여러분은, 내가 여러분과 함께 있을 때에, 이런 일을 여러분에게 거듭 말했던 것을 기억하지 못합니까?
6. 여러분이 아는 대로, 그가 지금은 억제를 당하고 있지만, 자기의 때가 오면 나타날 것입니다.
7. 불법의 비밀이 벌써 작동하고 있습니다. 다만, 억제하시는 분이 물러나실 때까지는, 그것을 억제하실 것입니다.
8. 그 때에 불법자가 나타날 터인데, 주 예수께서 자기의 입김으로 그를 죽이실 것이고, 주께서 오셔서 나타나실 때에, 그를 멸하실 것입니다.
9. 그 불법자가 오는 것은 사탄의 작용을 따른 것인데, 그는 온갖 능력과 표징과 거짓 이적을 행하고,
10. 또한 모든 불의한 속임수로 멸망 받을 자들을 속일 것입니다. 그것은, 멸망 받을 자들이 자기를 구원하여 줄 진리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11.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미혹하게 하는 힘을 그들에게 보내셔서, 그들로 하여금 거짓을 믿게 하십니다.
12. 그것은, 진리를 믿지 않고 불의를 기뻐한 모든 사람에게, 심판을 내리시려는 것입니다.
13. 주님의 사랑을 받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는 여러분의 일로 언제나 하나님께 감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여러분을 성령으로 거룩하게 하시고, 진리를 믿게 하여 구원에 이르게 하시려고, 처음부터 여러분을 택하여 주셨기 때문입니다.
14. 이렇게 되게 하시려고,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복음으로, 여러분을 부르시고, 여러분에게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을 얻게 하셨습니다.
15. 그러므로 형제자매 여러분, 든든히 서서, 우리의 말이나 편지로 배운 전통을 굳게 지키십시오.
16.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우리를 사랑하시고 은혜 가운데서 영원한 위로와 선한 소망을 주시는 하나님 우리 아버지께서, 친히,
17. 여러분의 마음을 격려하시고, 모든 선한 일과 말에 굳세게 해주시기를 빕니다.
B. 관찰하기
- (1절) 예수의 “다시 오심”과 “모임”에 대한 바울의 간청은 무엇인가. 구약성서에서 말하는 야훼의 “귀환”과 모든 민족과 열방이 하나님 앞에 “모임”의 사건을 염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왕의 귀환과 종말론적 모임으로서, 교회의 중요성이 데살로니가 교회 안에 중요한 문제였던 것으로 보인다.
- (2절) “예언”, “알리는 말”, “편지”로 “주의 날”, “그날”이 왔다고 하더라도 믿지 말라는 것은, 바울의 편지(살전) 외에도 데살로니가 교회에 말세에 대한 예언이나 가르침이 많았다는 것으로 보인다.
- (3절) 그날 전에 배교, 불법을 행하는 사람(멸망의 자식)이 나타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마태복음 7장에 있는 “주의 이름으로 선지자 노릇”을 하며 축사하던 사람들이 불법을 저지르는 사람으로 불리는 것은 그러한 일들이 횡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태복음에서는 불법을 행하는 이를 “거짓 선지자”로 본다. 단, 바울도 이를 동일시했는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
- (4절) 자칭 “신”이라고 자신을 높이는 일은, 다니엘서에 있는 것처럼, 불법의 가증한 것, 에피파네스가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힌 것과 연관되는 것으로 보인다.
- (5절) 바울은 오래전부터 데살로니가에서 전도하기 시작하고, 가르쳤을 때부터 이에 대해 강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 (6~7절) 자신의 때가 나타나면 억제하고 있던 봉인된 것이 해제되는 것과 같은 일이 일어날 것이다.
- (8절) 예수께서 입김(호흡)으로 불법자를 심판하실 것이다.
- (9~10절) 불법자는 사탄의 힘을 따르는 자로 마술 같은 이적을 행할 것인데, 이는 마태복음 7장과 유사하다.
- (11~12절) 하나님은 미혹을 당하는 자들을 내버려 두심으로써 그들을 심판하시는 것이다. 마치 출애굽 사건 앞의 바로와 같다.
- (13~15절) 그럼에도 성령으로 보증하신 교인들은 구원을 받을 것이며, 이를 위해 데살로니가전서와 같은 편지에 있는 교훈을 따라야 한다.
- (16~17절) 하나님께 대한 간구
C. 묵상하기
- 불법자가 무엇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약간의 단서는 다니엘서에 나온 예언, 마태복음 7장에 나오는 불법자 정도가 아닐까 싶다. 그럼에도 마태복음이 시기상 데살로니가후서보다 후대에 쓰였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마태복음 7장의 구전 전승을 토대로 한다고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초기 교회, 교리나 교회가 확고히 자리를 잡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혼란스러운 상황을 염두하고서라도 임박한 종말 의식 속에 데살로니가 교회의 교인들이 혼돈의 상황을 마주하고 있었던 것을 사실이다. 더구나 사도행전 17장에 나오는 대로, 데살로니가 교회는 정치적으로 황제 숭배에 대한 충성심을 보인 도시였기 때문에 문화적으로 그리스도의 복음과 충돌이 심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 그럼에도 성령의 보증, 바울의 간구는 혼란의 시기를 겪는 교우들을 위로하고 권면하는 힘이 되었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이 되었다.
- 오늘날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문화, 이데올로기는 무엇인가. 그것은 다른 이름의 불법자, 사탄의 작동이 아닌 것인가. 이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은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성령의 보증을 의지하고 난관을 극복할 것인가. 고민이 깊어진다.
'예배 자료 >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림 2주 목요일 성서정과 (0) | 2022.12.08 |
---|---|
대림2주 수요일 성서정과 (0) | 2022.12.07 |
사순절의 싹 (1) | 2022.04.05 |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도 (0) | 2021.02.22 |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기도 (0) | 2021.02.04 |